🚀 2학기 에듀테크 무료 체험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자세히 보기
에듀테크

에듀테크 오늘

오늘의 에듀테크 소식 및 인사이트
Process Feedback: AI 시대의 학습 과정 시각화 도구
웹사이트 확장프로그램 핵심 특징 요약 • 무료 교육 플랫폼: 학생과 교사를 위한 완전 무료 도구로 계정 생성 없이 사용 가능 • 메타인지 개발 전문: 1970년대부터 입증된 성찰 기반 학습 이론을 디지털로 구현 • 안전한 AI 통합: 직접적 답안 생성이 아닌 설명과 피드백 중심의 AI 활용 지원 • 프라이버시 우선: 작업 중 학생 행동 데이터 수집 없음, 로컬 저장 기본 • 이중 성찰 지원: 행동 후 성찰(reflection-on-action)과 행동 중 성찰(reflection-in-action) 모두 제공 • Google Docs 완벽 지원: Chrome/Firefox 확장 프로그램으로 기존 문서도 소급 분석 가능 • 전세계 활용: 70개국 25,000명 이상이 사용하는 검증된 교육 도구 • 한국어 지원: 대부분 언어 자동 지원 (특수 문자 사용 시 설정에서 지정 가능) Process Feedback 완벽 활용 가이드 🧠 핵심 철학: "Every Student's Work Has a Story" 메타인지 중심 접근법 🚀 1단계: 도구 설치 및 설정 세 가지 접근 방법 📝 2단계: 안전한 AI 통합 학습 Process Feedback의 AI 안전장치 연구 기반 효과성 (IEEE Frontiers in Education 발표) 초보 학습자에게 더 큰 학습 효과 전통적으로 소외된 그룹(여성 등)에게 특히 유용 가이드된 AI 지원이 자율적 학습으로 이어짐 🔍 3단계: 이중 성찰 시스템 활용 Reflection-on-Action (행동 후 성찰) Reflection-in-Action (행동 중 성찰) 📊 4단계: 프로세스 보고서 생성 및 분석 보고서 유형별 활용법
  • C
    Contenjoo
2025년 교육 분야 AI 활용 현황과 미래 전략
글머리기호 형식 요약 현재 AI 교육 도입 현황 • 도입률: 교육 기관 86%가 생성형 AI 활용 (전 산업 중 최고) • 사용자별 활용 방식: 학생: 과제 아이디어 생성(37%), 정보 요약(33%), 빠른 답변 검색(33%) 교육자: 수업 계획 작성(31%), 교재 제작(29%), 어려운 내용 쉽게 설명(24%) 관리자: 학생 피드백 제공(36%), 업무 효율화(35%), 장애학생 지원 도구(33%) 주요 우려사항 • 표절과 과의존: 교육자 25%, 학생 33%가 최우선 걱정사항으로 지목 • 훈련 부족: 교육자 45%, 학생 52%가 AI 관련 교육을 받지 못함 • 보안과 개인정보: 관리자들의 주요 관심사 AI 교육 효과 • 성적 향상: 호주 대학생 AI 사용 시 시험 점수 10% 상승 • 업무 효율: 과제 수행 시간 40% 단축, 성적 10% 향상 • 접근성 개선: 장애학생 85%가 AI로 업무 능력 향상 경험 미래 직업 시장 변화 • 필수 역량: AI 활용 능력이 신입사원 채용 필수 조건 (66% 고용주) • 기술 변화: 2030년까지 직무 필요 기술의 70% 변화 예상 • AI 관련 채용: 2024년 AI 전문 인력 채용 30% 증가 단계별 AI 교육 도입 전략 1단계: 현황 분석 및 준비 목표: AI 도입을 위한 기반 마련 구체적 실행 내용: 교육 기관의 IT 인프라 점검 교육자 및 학생의 AI 사용 현황 조사 예산 및 인력 배치 계획 수립 개인정보 보호 정책 수립 성공 지표:
  • C
    Contenjoo
교사를 위한 Canva AI 사용법: 수업준비 시간을 반으로 줄이는 방법
핵심 기능 요약 • Magic Write: 글쓰기 도우미 - 문장 완성, 요약, 어조 변경, 퀴즈 만들기 • Magic Media: 이미지/동영상 만들기 - 말로 설명하면 그림으로 만들어줌 • Magic Edit: 사진 편집 - 배경 바꾸기, 불필요한 부분 지우기, 크기 조정 🔧 Magic Write 사용법: 글쓰기가 쉬워진다 📝 1단계: 막힌 글 계속 쓰기 언제 사용하나요? 수업계획서 쓰다가 막힐 때 학부모 편지 쓰는 중 할 말이 없을 때 과제 설명서 작성 중 중단될 때 사용 순서: 실제 예시: 원본: "이번 주 숙제는 수학 문제집 20페이지입니다." AI 완성: "이번 주 숙제는 수학 문제집 20페이지입니다. 어려운 문제가 있으면 친구들과 상의하거나 다음 시간에 질문해주세요. 매일 조금씩 풀어서 금요일까지 완성하면 됩니다." ✂️ 2단계: 긴 글 짧게 줄이기 언제 사용하나요? 학부모 이메일이 너무 길어졌을 때 복잡한 과제 설명을 단순하게 만들고 싶을 때 회의록을 핵심만 남기고 싶을 때 사용 순서:
  • C
    Contenjoo
학교 도서관에서의 팟캐스트 활용: 학생 중심 창작 프로젝트
요약 텍사스 학교 사서 Rachel Welsh와 샘 휴스턴 주립대 Dr. Gina가 캔바 여름 쇼케이스에서 발표한 학교 도서관 팟캐스트 활용법입니다. 학생 목소리 증폭, 21세기 디지털 기술 향상, 도서관의 창작 공간 재구성을 통해 전통적 평가 방식의 대안을 제시합니다. 마이크로 팟캐스트부터 연구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활용 방법과 캔바 에듀케이션을 활용한 실용적 제작 도구, 교내 공유부터 공개 출판까지의 배포 전략을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팟캐스트 프로젝트 전체 프로세스 특별 케이스: 여성사 월간 프로젝트 (3월) 도서 추천 팟캐스트 프로세스 6학년 "Fifth Grade Madness" 프로젝트
  • C
    Contenjoo
🎨 Canva AI 교실 활용법
📝 핵심 기능 요약 🏠 홈페이지 AI 기능 • Design for Me: "새학기 아이스브레이커 10페이지 프레젠테이션" → 다양한 스타일 완성본 자동 생성 • Create Image: "해변 몬스터 가족" + 만화 스타일 선택 → 교육용 캐릭터 이미지 완성 • Draft Doc: "2학년용 첫날 아이스브레이커 4개 게임 수업안" → 상세 활동 계획서 자동 작성 • Code for Me: "주사위+이름뽑기+소음측정+아날로그시계+감정컨테이너" → 통합 교실 대시보드 제작 🎯 에디터 내 AI 마법 도구 • Magic Write: "호주 동해안 가족여행" 텍스트 → 자동 퀴즈 문제 3개 선택지 생성 • AI Image Generator: "젤리로 만든 보라-파랑-초록 해마" → 4가지 창작 이미지 제공 • Background Generator: 해마 이미지 + "산호초가 있는 아름다운 바닷속" → 배경 자동 교체 • Magic Eraser: 가족사진에서 한 명 클릭 → 자연스럽게 제거 및 배경 복원 • Magic Grab: 할머니와 아이 선택 → 위치 이동 및 크기 조정 📱 공유 및 활용 • 공개 링크: 로그인 없이 학생 접근 가능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 QR 코드: 공개 링크 → QR 생성 → 프린트하여 교실 배포 • LMS 임베딩: "Use in Design" → 학습관리시스템에 직접 삽입 🔄 Canva AI 활용 플로우차트 📚 수업 준비 단계 ✏️ 기존 자료 개선 단계 📤 학생 공유 단계 🎮 인터랙티브 활동 운영 📊 효과 측정 및 개선 🔑 핵심 성공 키워드 프롬프트 최적화: 구체적 색상, 명확한 페이지 수, 대상 연령, 활동 목적, 스타일 지정 즉시 활용성: 로그인 불필요 공개 링크, QR 코드 프린트, 원클릭 LMS 통합 교실 관리 효율화: 실시간 도구 (타이머, 주사위, 이름뽑기), 소음 관리, 즉석 평가 개인화 교육: AI 퀴즈 자동 생성, 학습자 맞춤 콘텐츠, 다양한 학습 스타일 지원 멀티미디어 통합: 이미지+텍스트+인터랙션 결합, 오디오 포함 활동, 시각적 매력도 극대화
  • C
    Contenjoo
Canva로 만드는 교실 꾸미기 아이템 3가지
📌 핵심 요약 • 강사: 크리스티나 (Canva 전문가, 10년 경력) • 테마: 정원 컨셉으로 교실/도서관 꾸미기 • 만들 것: 책상 번호표, 꽃펜 선물세트, 연필 꾸미기 • 특징: 한 번에 여러 개 만들기, 개인 맞춤 제작 가능 🏷️ 책상 번호표 만들기 템플릿 찾기 Templates 메뉴 → "table signs" 검색 → 마음에 드는 디자인 선택 글씨 수정하기 아이들이 읽기 쉬운 글꼴 선택 (Poppins, League Spartan 추천) 숫자 크기 키우고 색깔 바꾸기 (진한 보라색 등) 복잡한 장식 줄여서 깔끔하게 만들기 효율적으로 여러 개 만들기 새 페이지 추가 (가로형 11×8.5) ↓ 4×6 크기 박스 그리기 (자를 선 표시) ↓ 한 장에 3개씩 배치 (세로 2개 + 가로 1개) ↓ 복사해서 다른 번호들 만들기 인쇄하고 완성하기 PDF로 다운로드 (필요한 페이지만) → 인쇄 → 선 따라 자르기 → 플라스틱 액자에 넣기 💡 팁: 유리 액자 말고 플라스틱 액자 사용 (안전) 🌸 선생님 선물용 꽃펜 세트 꽃펜 만드는 방법 준비물: 볼펜, 조화, 초록 테이프, 글루건, 풀 볼펜 뚜껑 빼기 ↓ 조화에서 꽃만 떼어내기 ↓ 펜 윗부분에 글루건으로 꽃 붙이기 ↓ 초록 테이프로 펜 전체 감싸기 ↓ 풀로 테이프 끝 고정하기 선물 포장지 만들기
  • C
    Contenjoo
AI 프롬프팅 완전 가이드: 교육자를 위한 실전 매뉴얼
📋 핵심 요약 • 12가지 프롬프팅 핵심 원칙: 단순→복잡, 명확한 지시어, 구체적 설명, 예시 활용 등 • 체계적 프롬프트 구조: Task → Context → Requirements → Format → Tone/Audience → Constraints → Quality checks • 6가지 주요 기법: Zero-shot, Few-shot, Meta, Self-consistency, Knowledge generation, Chain-of-thought • 실전 예시 비교: 약한 프롬프트 vs 강한 프롬프트 상세 분석 • 교육 현장 적용: 수업 계획, 평가 문항, 차별화 학습 등 구체적 활용법 🎯 STEP 1: 프롬프팅 기본 원칙 마스터 핵심 키워드: 단순화 구체화 구조화 12가지 황금 법칙 단순→반복: 작게 시작해서 점진적 개선 검증 요청: AI가 요구사항 재확인하도록 지시 명확한 동사: write, classify, summarize, translate, extract 사용 구체적 설명: 스타일, 범위, 제약조건 명시 섹션 분리: ### 같은 구분자로 명확히 분할 예시 제공: 1-2개 샘플로 형식과 톤 고정 출력 형태 지정: 리스트, 헤딩, JSON, 테이블 등 명시 길이 관리: 필요한 정보만 포함, 불필요한 내용 제거 모호함 제거: 구체적 숫자, 역할, 기준 제시 긍정적 지시: "하지 말 것" 대신 "할 것" 명시 패턴 재사용: 효과적인 프롬프트 라이브러리 구축 사전 검증: AI가 가정사항 확인하도록 요청 🏗️ STEP 2: 프롬프트 구조 설계 핵심 키워드: 템플릿 체계화 표준화 표준 프롬프트 골격 (한국어-영어 대조) ⚙️ STEP 3: 6가지 프롬프팅 기법 적용
  • C
    Contenjoo
AI 시대 교육의 핵심: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리터러시
📝 핵심 요약 • AI 리터러시: AI와 상호작용하는 4개 영역 - 참여, 창조, 관리, 설계 •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평가, 통합, 창작 능력을 포함한 10가지 핵심 기술 • 미디어 리터러시: 편향과 조작을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능력 • 디지털 시민의식: 온라인에서 책임감 있고 윤리적인 행동 실천 • 교사의 역할: AI를 활용한 교육과 비판적 사고력 개발 지원 AI 리터러시: 인공지능 시대의 필수 역량 AI 리터러시의 정의 OECD(2025)에 따르면, AI 리터러시는 "AI가 영향을 미치는 세상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지식, 지속 가능한 기술, 미래 지향적 태도"를 의미합니다. 학습자가 AI와 참여하고, 창조하며, 관리하고, 설계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AI의 이점, 위험, 윤리적 함의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AI의 정의 OECD(2024)는 AI를 "명시적이거나 암묵적인 목표를 위해, 받은 입력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가상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측, 콘텐츠, 권장사항 또는 결정과 같은 출력을 생성하는 방법을 추론하는 기계 기반 시스템"이라고 정의합니다. AI와 상호작용하는 4가지 영역 1. AI와 참여하기 (Engaging with AI) AI 도구 사용하기 AI가 언제 작동하는지 인식하기 AI 결과물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2. AI와 함께 창조하기 (Creating with AI) AI와 협력하여 아이디어, 디자인, 해결책 만들기 예시: ChatGPT와 함께 스토리 작성하기 3. AI 관리하기 (Managing AI) AI 사용 시점과 방법 결정하기 AI에게 작업 할당하거나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하기 4. AI 설계하기 (Designing AI) AI 시스템 구축 원리 이해하기 AI 행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형성할 수 있는 능력 개발하기
  • C
    Contenjoo
Google Gemini Rising: 교육용 AI 도구 대규모 출시
주요 내용 요약 • 30+ AI 도구 Google Classroom에 무료 제공 • Gemini for Education 교육 전용 앱 출시 (18세 미만 사용 가능) • Google Vids AI 비디오 생성 도구 교육용 확대 • NotebookLM 오디오/비디오 팟캐스트 자동 생성 • Chromebook 교실 관리 실시간 화면 제어 및 번역 기능 • 안전성 강화 엄격한 데이터 보호 및 접근 제어 • 교육학적 접근 LearnLM 기반 pedagogical AI 모델 적용 Gemini for Education의 핵심 특징 Google은 교육 환경에 특화된 Gemini 버전을 출시하며 교육 기술 분야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기업급 데이터 보호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하며, 15년간 전 세계 교육기관으로부터 신뢰받아온 Google Workspace for Education의 서비스 약관 하에 운영됩니다. 특히 COPPA 및 FERPA 규정을 완전히 준수하며, Common Sense Media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18세 미만 사용자에 대한 접근 정책입니다. 이전에는 연령 제한으로 인해 학생들의 직접적인 AI 도구 사용이 제한되었지만, 이제 학교와 교육기관이 직접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교육자들이 학생별, 학년별, 학교별로 세밀하게 접근 권한을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교사 효율성과 학생 참여도 혁신 Google Classroom에 통합된 30개 이상의 AI 도구는 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루브릭 생성, 수업 계획 수립, 퀴즈 제작, 실제 사례 브레인스토밍 등 교사들의 반복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업무를 자동화합니다. 한 파일럿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처음 제시된 20-30개의 사용 사례를 바탕으로 700개가 넘는 창의적인 활용법을 개발해냈습니다. 학생들에게는 'Classroom Gems'라는 혁신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교사가 맞춤형 AI 도우미를 생성하여 특정 수업 내용에 맞게 조정하고, 학생들이 부적절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교사는 "답을 직접 제공하지 말고 힌트만 줘라" 또는 "특정 교육과정 기준에 맞춰 설명해라"와 같은 지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AI와 교육학의 융합: LearnLM Google의 LearnLM은 단순한 기술적 성능을 넘어서 실제 교육학적 효과에 중점을 둔 혁신적인 접근법입니다. 기존 AI 모델들이 수학 시험이나 표준화된 벤치마크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것에 만족했다면, LearnLM은 "학습에 실제로 도움이 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려 합니다. 이 시스템은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 메타인지 강화, 비판적 사고 증진 등 검증된 교육학적 원칙들을 AI 평가 기준으로 삼습니다. MIT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된 "교육자를 위한 생성형 AI 과정"은 이러한 철학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도구입니다. Shantu Sinha 부사장은 "AI가 비판적 사고를 대신해서는 안 된다.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협력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접근성과 미래 전망 현재 전 세계 1억 5천만 명 이상이 Google for Education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AI 기술의 급속한 비용 효율성 개선이 교육 기회의 전 지구적 확산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YouTube가 15년 전 상상할 수 없었던 전 세계 동영상 스트리밍을 실현한 것처럼, AI 교육 도구도 유사한 확산 경로를 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Gemini Nano와 같은 경량화된 모델들이 Android 기기에서 직접 실행될 수 있게 되면서, 개발도상국의 교육 환경에서도 고품질 AI 교육 도구 활용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Google은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다양한 지역의 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 C
    Contenjoo
CFISD DLC 2025: 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도구 완전 가이드 📚
2025년 7월 22일, Cypress-Fairbanks ISD에서 개최된 디지털 학습 컨퍼런스 전체 세션 요약 🎯 전체 세션 핵심 요약 • 집행 기능 강화 - 교실 혼란 해결을 위한 5가지 체계적 시스템 • Netflix 스타일 교실 - 개인화 학습을 위한 플랫폼 모델 적용 • Adobe Express 마스터리 - 창작 도구의 교육적 활용 전략 • 학생 중심 학습 -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5가지 기둥 • 수학 가이드 학습 - Fluid Math를 통한 실시간 협업 수학 교육 • 다국어 학습자 지원 - EdPuzzle을 활용한 포용적 교육 환경 📌 Session 1: Control the Chaos with Executive Functioning Skills 발표자: Stephanie How | 8:00 AM 🔑 핵심 키워드 집행기능 교실관리 자기조절 루틴시스템 학습추적 ⭐ 5가지 핵심 시스템 1️⃣ Agendas (의제 시스템) Math Reps → 7-10분 나선형 복습 Buzz Work → 수업 준비사항 체크리스트 Today's Goal → 일일 학습 목표 명시 템플릿 → mathreps.com, Google Slides 활용 2️⃣ Timer & Road Maps 60분 플립타이머 → Amazon 구매 추천 Road Maps → 복잡한 과제 단계별 분해 진도추적 → 색칠하기, 체크박스 시스템 단계설정 → 3단계(유치원) ~ 20단계(고등학교) 3️⃣ Tracking Systems Google Spreadsheet → 드롭다운 진행상황 표시
  • C
    Contenjoo
AI 시대 어린이를 위한 글로벌 코딩 축제: Worldwide Kids Vibe Coding Hackathon
📝 요약 무엇인가? 전 세계 9-13세 어린이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AI 코딩 해커톤 언제? 2025년 10월 10-11일 (48시간 동안 전 세계 동시 진행) 어떻게? 바이브 코딩(Vibe-coding) 방식으로 AI 도구를 활용한 창의적 프로젝트 제작 도구는? Lovable (웹앱), ROSEBUD AI (게임), 기타 AI 창작 도구 핵심 가치: 창의성, 역량강화, 협업, 포용성, 안전 참가 방식: 지역 호스트가 현장 이벤트 운영, 온라인 참여 불가 안전: 엄격한 아동 보호 정책과 행동강령 적용 주최: AI Coding School (Kids AI Coding School)이 글로벌 조정 담당 🌟 바이브 코딩이 바꾸는 어린이 교육의 미래 2025년, 코딩 교육이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기 전에, 아이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AI와 함께 실현할 수 있는 시대가 왔습니다. 바이브 코딩(Vibe-coding)은 2025년 2월 Andrej Karpathy가 X(트위터)에서 대중화시킨 혁명적인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물 마시라고 알려주는 앱이 필요해"라고 평범한 말로 설명하면, AI가 실제로 작동하는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줍니다. 아이들은 더 이상 코딩 전문가가 될 필요 없이, 창의적인 프로젝트 디렉터가 되어 자신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에 Worldwide Kids Vibe Coding Hackathon (WoKiViCo)가 있습니다. 🌍 글로벌 연결, 로컬 경험의 마법 동시다발적 글로벌 이벤트 2025년 10월 10-11일, 전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코딩 교실이 됩니다. 48시간의 시간창 동안 각 지역의 호스트들이 현장 이벤트를 운영하며, 9-13세 어린이들이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만들어냅니다. "Connect globally, hack locally" - 이 모토가 보여주듯, 아이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안전하게 활동하면서도 전 세계 또래들과 연결된 거대한 창작의 물결에 참여하게 됩니다. 로컬 호스트의 자율성과 책임 각 지역 호스트는 다음과 같은 유연성을 가집니다: 날짜 선택: 10월 10일(금요일), 11일(토요일) 중 선택 또는 양일 모두 시간 조정: 지역 상황에 맞는 최적 시간 설정 (권장: 하루 4시간 이내)
  • C
    Contenjoo
뉴질랜드 인공지능 전략: 신뢰로 투자하기 (2025년 7월)
주요 내용 요약 전략 목표: 뉴질랜드를 AI 개발보다는 AI 채택과 활용에 집중하는 국가로 포지셔닝 경제적 잠재력: 생성형 AI만으로도 2038년까지 뉴질랜드 경제에 760억 달러(GDP의 15% 이상) 기여 가능 정부 역할: 규제 불확실성 해소, 장벽 제거, 안정적인 정책 환경 조성을 통한 민간 부문 AI 투자 촉진 국제 협력: OECD AI 원칙 채택 및 국제 파트너십 강화 역량 구축: 교육, 연구, 인력 개발을 통한 AI 역량 강화 AI 전략 필요성 뉴질랜드는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AI 전략을 발표하지 않았던 국가였으나, 경쟁력 유지와 글로벌 인재 유치를 위해 AI 채택이 필수적임을 인식했습니다. 경제적 기회 Microsoft 연구에 따르면 생성형 AI 채택으로 2038년까지 760억 달러 경제 효과가 예상되며, 이는 GDP의 15% 이상에 해당합니다. 채택 중심 접근법 뉴질랜드는 수억 달러가 소요되는 기초 AI 모델 개발 대신, 기존 AI 기술을 지역 과제에 신속하게 적응시키는 정교한 채택자로서의 역할에 집중합니다. 현재 AI 생태계 AI Forum New Zealand는 230개 이상 회원 조직으로 성장했으며, 대기업의 67%가 AI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68%는 AI 투자 계획이 없어 격차가 존재합니다. 혁신 사례 관광: NIWA의 AI 기반 고래 관찰 예측 시스템 언어 보존: Te Hiku Media의 92% 정확도 테 레오 마오리 음성 인식 의료: Toku의 안과 스캔 기반 질병 진단, Formus Labs의 AI 수술 계획 농업: Halter의 10억 달러 가치 축산 AI 웨어러블 기술 장벽 해결 방안 규제 불확실성: OECD AI 원칙 채택을 통한 원칙 기반 경량 규제 접근 복잡성과 위험 인식: 비즈니스용 책임감 있는 AI 지침 발표 이해 부족: AI 전략 발표를 통한 인식 제고 및 실험 촉진 기술 부족: 대학 프로그램 확대, 기업 교육, 공공 부문 역량 강화
  • C
    Contenjoo
ISTE 2025의 가장 독특한 이벤트: EdTech SmackDown! Live
프로레슬링을 패러디한 에듀테크 발표회 ISTE 컨퍼런스에서 가장 색다른 이벤트를 발견했다. "EdTech SmackDown! Live"라는 이름부터 범상치 않은 이 행사는 말 그대로 에듀테크 도구들을 프로레슬링 경기처럼 대결시키는 라이브쇼였다. 현재 교육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주요 에듀테크 도구들의 총집합이라고 할 수 있었다. Abid Patel(IT Director, Google Certified Trainer)과 Stephanie Howell(School AI Community Coach)이 호스트를 맡았고, 전 세계에서 온 30명 이상의 에듀테크 전문가들이 자신들의 도구를 "챔피언"처럼 소개하며 서로를 재미있게 디스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행사는 "There will be smack talk. It is all in good fun to get you excited about tech. We appreciate all of our presenters and the tech tools shared today. But, there will be smack talk! Join in the fun!"(도발적 발언이 있을 예정입니다. 기술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한 재미있는 요소입니다. 모든 발표자와 공유되는 기술 도구들을 존중합니다. 하지만 도발적 발언이 있을 것입니다! 재미에 동참하세요!)라는 경고 문구로 시작되었다. 이벤트 진행 방식과 독특한 설정 행사 곳곳에 프로레슬링 요소가 스며있었다. "Justice League: Detention Edition"(정의의 리그: 방과후 보충수업 에디션)이라는 심사위원단이 있었고, "No Mercy Scott", "Cat-a-Strophic", "Judge Plowdown" 같은 캐릭터들이 등장했다. 심지어 "Tick Tock Terror"(틱톡 테러)라고 불리는 Virginia라는 심사위원도 있었다. 마스코트로는 Cora DaCorgi라는 개가 등장했는데, "I am a dog"(나는 개입니다)라고 자기소개를 하며 다양한 재미있는 사진들과 함께 행사 분위기를 한층 더 유쾌하게 만들었다. 각 발표자들은 "스맥 토크"라고 불리는 도발적인 발언을 통해 경쟁 도구들을 재미있게 비판하며 자신의 도구를 어필했다. 이는 WWE의 프로레슬러들이 경기 전에 하는 도발적 발언을 패러디한 것이었다. 현재 교육계 핵심 AI 도구들의 격돌 Brisk - AI 기반 온라인 학습 혁신 Rimmey가 소개한 Brisk는 "Don't Risk It….Just Brisk It!"(위험하게 하지 말고, 그냥 Brisk 하세요!)라는 강력한 슬로건으로 등장했다. 이 도구는 현재 교육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AI 기반 온라인 학습 도구 중 하나로, "Brisk Boost helps educators turn online resources into AI-powered activities, track engagement in real time, and teach in a secure, tech-forward environment"(Brisk Boost는 교육자들이 온라인 자료를 AI 기반 활동으로 전환하고, 실시간으로 참여도를 추적하며, 안전하고 기술 친화적인 환경에서 가르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라고 소개되었다. Brisk는 다양한 세부 기능들을 제공한다: Brisk Boost: 온라인 자료를 AI 기반 활동으로 변환 Brisk Bites: 한 입 크기의 Brisk 전문 개발 Club Brisk: 글로벌 커뮤니티 형성 특히 QR 코드를 활용한 접근성과 Google Docs와의 통합이 인상적이었으며, 8학년 수준의 논증 작문 과제 생성 등 구체적인 활용 사례들이 제시되었다. School AI - 연구와 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 Stephanie Howell은 School AI를 "Research on the Run with school ai"(School AI와 함께하는 연구 on the Run)라는 컨셉으로 소개했다. 이 플랫폼은 현재 많은 교육기관에서 도입하고 있는 종합 AI 교육 플랫폼으로, 세 가지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Scribe (📝): 기록 및 문서화 기능 Runner (🏃): 실행 및 구현 기능 Researcher (😱): 연구 및 분석 기능
  • C
    Contenjoo
구글 클래스룸의 AI 도구들이 교육계에 던진 충격파
이 글을 읽으면 교육 기술의 무분별한 도입이 어떻게 교실 현장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는지, 그리고 진정한 교육적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어요. 한 교육 전문가의 생생한 경험담을 통해 AI 시대 교육의 진짜 문제점과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핵심 내용 요약 ✅ 구글이 여름휴가 기간에 30개 AI 도구를 기본 활성화로 일방적 출시 📊 AI 생성 교육 자료의 품질이 기존 전문가 제작 자료보다 현저히 떨어짐 🔍 교육용 AI는 편의성이 아닌 교육적 효과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함 💡 교사들에게는 AI 활용 능력뿐만 아니라 AI 판단 능력이 필요함 1. 최악의 타이밍에 터진 폭탄 한 교육 전문가가 여름휴가를 보내고 있을 때였습니다. 7월 4일 독립기념일 주간, 거의 모든 교육 관계자들이 휴가를 떠나거나 최소한 업무에서 벗어나 있던 그 시기에 구글이 폭탄선언을 했습니다. 6월 30일 월요일, 구글은 30개의 새로운 AI 도구를 구글 클래스룸에 일제히 출시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충격적인 부분은 이 모든 도구들이 '기본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었다는 것입니다. 구글의 이중적 태도 사전 공지도 없었습니다 교육자들의 동의도 구하지 않았습니다 수백만 명의 학생과 교사가 매일 사용하는 플랫폼에 검증되지 않은 AI 도구 30개를 그냥 밀어넣었습니다 흥미롭게도 구글은 같은 시기에 Gemini와 NotebookLM을 워크스페이스에 추가할 때는 기본 활성화로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즉, 신중함을 발휘할 능력은 있었지만 교육 분야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기로 선택한 것입니다. 2. 전문가가 직접 확인한 충격적 결과 이 교육 전문가는 휴가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 도구들을 하나하나 검증해보기로 했습니다.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었으니까요. 첫 번째 사례: 모범 답안 생성 도구의 실패 'Exemplar' 도구 테스트 이 도구는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모범적인 학생 답안을 생성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론적으로는 정말 좋은 아이디어였습니다. 6학년 학생들이 많이 읽는 소설 《아웃사이더》를 주제로 Cherry Valance의 관점에서 일기를 쓰는 과제의 모범답안을 요청했습니다.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AI가 생성한 답안은 마치 "기술적으로는 아이스크림이고 바닐라 맛이지만, 실제로 먹고 싶게 만드는 모든 요소가 빠진" 수준이었습니다.
  • C
    Contenjoo
👍
1
AI로 독서 이해력을 높인 교사의 놀라운 발견
이 글을 읽으면 AI 도구를 활용해 학생들의 독서 이해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실제 교육 현장의 구체적 방법을 알게 되어요 학생들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우려 속에서, 한 교사가 AI 도구를 창의적으로 활용해 놀라운 성과를 거둔 이야기입니다. 단순히 AI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이해력을 점검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검증된 방법을 소개합니다. 핵심 내용 요약 ✅ 2-3학년 수준 학생들을 6학년 수준으로 끌어올린 AI 활용 독서법 📊 키워드 추출 → AI 이미지 생성 → 검증 과정을 통한 이해력 점검 🔍 학생 중심의 AI 활용으로 메타인지 능력 향상 💡 디지털 시민의식과 출처 표기 습관까지 기르는 통합적 접근 1. 위기에 직면한 교실의 현실 한 중학교의 제시카 팩 교사가 담당한 6학년 학생들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이들의 평균 독서 수준은 2-3학년 정도에 머물러 있었던 것입니다. 이는 비단 이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전국적으로 학생들의 독서 능력이 하락하고 있다는 현실이 계속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었죠. 최근 몇 년간 4학년과 8학년 학생들의 독서 점수가 계속 하락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교육자들이 모인 한 세션에서 "학생들이 글을 읽고 이해력을 보여달라고 할 때 어떤 장벽에 부딪히는가?"라는 질문이 던져졌습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답한 것은 제한된 어휘력, 지루함, 해독의 어려움 등이었습니다. 2. AI에 대한 상반된 시각들 많은 교육자들은 AI 도구가 오히려 교육에 해롭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창의성을 억누르고, 표절로 이어지며, 학생들이 어려운 과제를 회피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을 제공한다는 우려가 팽배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팩 교사는 다른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AI를 순전히 교사 중심의 도구로 여기고 있는데, 오늘 우리가 할 일은 학생 중심의 활용법을 격려하는 것입니다" 3. 구체적인 AI 활용 독서법의 탄생 팩 교사가 개발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었습니다: 단계별 프로세스 키워드 추출 단계 학생들이 책의 문단을 살펴보고 그 텍스트에서 키워드를 추출
  • C
    Contenjoo
교육기술 컨퍼런스의 숨겨진 이야기: AI 전문가라는 환상
최근 ISTE 컨퍼런스 참석자들의 WhatsApp 그룹 채팅을 들여다볼 기회가 있었다. 그 안에서 벌어진 한 토론이 교육기술 분야의 현실을 보여주며 나를 깊이 생각하게 만들었다. 시작은 한 참석자의 분노였다 LinkedIn에서 "AI 전문가는 없다"는 게시물을 올린 영국 참석자. 뉴질랜드에서 온 동료가 그 글에 공감을 표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됐다. 영국 참석자는 주말에 있었던 일을 털어놓았다. "금요일 세션에서 친구가 목격한 일인데, '전문가'라고 소개된 발표자가 자신의 제품을 팔기 위해 다른 회사들에 대해 완전히 거짓말을 하고 있더라고요. 정말 화가 났어요!" 뉴질랜드 참석자도 비슷한 경험을 공유했다. 자국 동료들과 "AI 교육학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는데, 정작 그 사람의 세션은 단순한 "도구 소개"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래퍼 도구"의 실체 대화가 이어지면서 더 구체적인 문제들이 드러났다. 어떤 "AI 전문가"는 세션 내내 빅테크 기업들을 비난하면서 자신의 "정말 기본적인 AI 도구"를 사라고 권했다고 한다. 한 참석자가 대문자로 외쳤다: "그건 그냥 래퍼예요!" 그들이 말하는 "래퍼(wrapper)"란 기존 AI 모델을 감싸서 마치 자신만의 기술인 것처럼 포장한 도구들을 말한다. 더 문제가 되는 건 이런 도구들이 "우리 젊은이들에게 필요한 기술과 도구를 제공하지도, 기회를 주지도 않는다"는 지적이었다. 교육 현장의 목소리 하지만 이 대화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접근법이었다. 한 지역 교육청 직원은 자신이 직원들을 위해 만든 12시간 AI 교육과정을 소개했다. 놀라운 건 9시간째까지는 어떤 도구도 건드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의 팀 모토는 간단명료했다: "기술이 아니라 테크닉이 중요하다(It's not about the tech, it's about the technique)." 다른 참석자는 자신을 "AI 모험가(AI Adventurer)"라고 소개하며 이렇게 말했다: "도구들이 이렇게 빠르게 변하는 AI의 유아기 시대에 우리 중 누구도 전문가가 될 수는 없어요." 양면의 시각 물론 다른 관점도 있었다. 한 교육 리더는 발표자들을 옹호하는 입장을 보였다. "모든 발표자는 자신이 열정을 갖고 있는 것을 나누고 싶어해요. 어떤 것은 공감할 수 있고 어떤 것은 그렇지 않을 수 있죠. 자신의 실무에 도움이 될 것을 가져가고 앞으로 나아가는 게 최선이에요." 그녀는 또한 ISTE가 벤더들의 발표를 허용하므로 "그런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청중도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비교 분석해서 자신의 교실에 가장 적합한 것을 판단하는 것은 결국 교사의 몫이라는 얘기였다. 교육 리더십의 현실 이 대화에서 가장 현실적이었던 건 교육 리더십의 상황에 대한 지적이었다.
  • C
    Contenjoo
AI가 교실에 본격 상륙한 날: Google Gemini 무료화가 불러온 에듀테크 지형 변화
이 글을 읽으면 이 글을 읽으면 Google이 Gemini AI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Magic School AI·SchoolAI·Brisk Teaching 같은 에듀테크 스타트업들이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지 알게 되어요. 세 기업이 택한 생존 전략을 살펴보며, 교실 속 AI 활용이 앞으로 어떻게 자리 잡을지 한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핵심내용 요약 ✅ Google Gemini 무료화로 AI 도구가 ‘기본 기능’이 되며 시장 구도가 빠르게 재편됨 📊 스타트업들은 특화 서비스·엔터프라이즈 솔루션으로 차별화하며 기회를 모색함 🔍 교사들은 비용 부담 없이 AI를 접할 수 있어 사용자 저변이 폭발적으로 확대됨 💡 플랫폼 파트너십·커뮤니티 기반 혁신이 스타트업 성장의 새 동력으로 부상함 1. 구글 발표가 가져온 예상 밖의 파장 2025년 여름 ISTE 현장. “앞으로는 모든 교실에서 Gemini AI를 무료로 쓸 수 있습니다!”라는 구글 발표에 교육 관계자들이 환호했습니다. 수업 준비·개별 학습·평가 제작이 버튼 몇 번으로 해결된다니, 교사들에게는 마치 시간이 늘어난 듯한 경험이었죠. 하지만 같은 순간, 기존 에듀테크 스타트업들은 마음이 복잡해졌습니다. ‘공짜’로 제공되는 강력한 AI가 핵심 기능을 순식간에 가져가 버렸으니까요. 2. 주목받는 세 스타트업, 그리고 각자의 색깔 Magic School AI – 교사의 만능 조력자 80여 개 도구로 수업 계획, IEP 작성, 생활기록부 코멘트까지 자동화해 주는 플랫폼입니다. “하루 30분이면 주간 수업 준비 끝!”이라는 후기가 쏟아질 정도로 교사 업무를 크게 줄여 주었죠. 오픈 초기에는 GPT 기반이었지만, 더 교육친화적인 답변을 위해 Claude로 모델을 갈아타며 정확도를 끌어올린 것이 특징입니다. 기본은 무료, 더 넓은 사용량과 맞춤 기능은 연 100달러 구독제로 운영됩니다. SchoolAI – 학생 맞춤형 학습의 설계자 교사용 AI 비서와 학생용 ‘스페이스’ 튜터를 한데 묶은 Classroom Experience Platform을 표방합니다. 교사가 직접 AI 튜터를 디자인해 두면, 학생은 게임하듯 대화를 나누며 실력에 맞는 학습을 이어 가죠. 99개 언어·실시간 음성 변환·특수교육 지침 등 접근성 기능도 풍부합니다. 교사는 무료, 학교 단위 라이선스로 수익을 내는 구조입니다. Brisk Teaching – 크롬 확장으로 완성된 초간편 워크플로우 Google Docs·Slides·Forms 위에서 바로 실행되는 20여 개 AI 도구가 강점입니다. 글의 읽기 난이도를 학년별로 조정하거나, 학생 글쓰기를 타임라인으로 재생해 수정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 줘요. 크롬 브라우저에 설치만 하면 작업 중인 문서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니, 초보 교사도 금세 익숙해집니다. 기본 기능은 무료, 학교·교육청 전용 플랜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3. Google Gemini 무료화가 만든 새 흐름 1) 기능 ‘평준화’ 시대 이제 수업 계획·퀴즈 제작 같은 기본 기능은 무료로 해결됩니다. 그 덕에 처음부터 AI를 쓰지 않았던 교사들까지 손쉽게 AI를 경험하고, 교실 전반에 AI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요. 단, 스타트업이 경쟁하려면 “우리는 더 깊이 있고 현장 맞춤형”이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해야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2) 비용 대신 ‘경험’과 ‘전문화’로 승부 Magic School AI는 특수교육 문서 작성, 대용량 교재 분석 같은 구글이 아직 다루지 못한 영역에 집중하며 교육구 맞춤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SchoolAI는 학부모 연계 대시보드·실시간 학습 분석 기능으로 교사의 데이터 활용을 돕고, 학생 안전 모니터링 같은 고급 기능을 준비 중입니다. Brisk Teaching은 특수교육 IEP 목표 생성, 다국어 읽기 수준 조정 등 초핵심 유틸리티를 더 날카롭게 다듬으며 워크플로우 편의성으로 차별화하고 있죠. 3) 플랫폼 파트너십의 중요성 세 스타트업 모두 Microsoft Teams, Canvas, PowerSchool 같은 타사 플랫폼과 손을 잡고 있습니다. 구글 생태계를 보완할 교두보를 마련해 ‘반-구글 연합’ 안에서 존재감을 키우려는 전략입니다. 4. 시장이 바뀌면서 생겨난 기회
  • C
    Contenjoo
AI로 배우는 학습 vs AI를 배우는 학습, 어떻게 다를까?
이 글을 읽으면 AI를 활용해서 공부하는 방법과 AI 자체를 배우는 방법의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과 실전 활용법을 알게 돼요. 앞으로 AI 시대에 어떤 학습 전략이 더 효과적인지, 그리고 두 가지를 어떻게 조합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꼭 읽어보세요! ✅ AI로 배우는 학습, 맞춤형 개인화로 학습 효율 극대화 📊 AI를 배우는 학습, 미래 경쟁력을 위한 필수 기술 습득 🔍 두 방식의 조합이 만드는 시너지 효과 💡 실전 활용법과 주의사항까지 한번에 정리 먼저 핵심부터 짚고 가볼게요 요즘 학습 방식이 완전히 바뀌고 있어요. AI로 배우는 학습은 ChatGPT, Notion AI, StudyGPT 같은 AI 도구를 활용해서 더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이고, AI를 배우는 학습은 머신러닝, 딥러닝, 자연어처리 같은 AI 기술 자체를 익히는 거죠. 둘 다 중요하지만, 접근 방식과 목표가 완전히 달라요. AI로 배우는 학습, 개인 맞춤형 공부의 혁신 AI를 학습 도구로 활용하는 방식은 정말 혁신적이에요. 기존의 일방적인 강의나 교재와 달리, AI는 내 수준과 학습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해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해줘요. 개인화된 학습 경험이 가장 큰 장점이죠. AI는 학습자의 진도와 성취도를 추적하면서,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학습 자료를 추천해줘요. 예를 들어, 수학 문제를 틀렸을 때 AI가 어떤 개념이 부족한지 분석하고,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문제들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식이에요. 실시간 질문과 답변도 엄청난 장점이에요. 밤늦게 공부하다가 모르는 게 생겨도, AI에게 바로 질문하면 즉시 답변을 받을 수 있죠. 복잡한 개념도 쉬운 비유로 설명해주고, 추가 질문을 하면 더 깊이 있는 답변까지 제공해줘요. AI를 배우는 학습, 미래를 위한 필수 역량 반면, AI 기술 자체를 배우는 건 완전히 다른 접근이 필요해요. 머신러닝의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 같은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서, 딥러닝의 신경망 구조, 자연어처리, 컴퓨터 비전까지 체계적으로 익혀야 하죠. AI를 배우는 학습의 핵심은 데이터, 알고리즘, 모델링을 이해하는 거예요. 단순히 이론만 아는 게 아니라, 실제로 코드를 작성하고 모델을 구현해보면서 경험을 쌓아야 해요. Python 프로그래밍, 수학적 기초, 통계학 지식까지 폭넓은 기반이 필요하죠. 흥미로운 점은, AI를 배울 때도 AI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는 거예요. ChatGPT에게 "CNN과 RNN의 차이점을 쉽게 설명해줘"라고 물어보거나, GitHub Copilot으로 코드 작성을 도움받을 수 있죠. 이렇게 AI로 AI를 배우는 메타 학습이 가능해진 시대예요. 두 방식의 장단점 비교 구분 AI로 배우는 학습 AI를 배우는 학습 목적 학습 효율성 향상
  • C
    Contenjoo
교실에서 바로 쓸 수 있는 AI 활용법, 선생님을 위한 실전 가이드
이 글을 읽으면 AI를 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학생들과 AI에 대해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팁을 알게 되어요. 실제로 교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AI 도구와 그 활용 사례, 그리고 학생들의 AI 리터러시를 키우는 대화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이 글을 읽으면 이런 점이 좋아요 AI를 활용해 수업 준비와 학생 맞춤형 피드백을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요 학생들과 AI에 대해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올바른 사용법을 지도하는 팁을 얻어요 실제로 검증된 AI 도구와 교실 적용 사례를 통해 바로 실천할 수 있어요 핵심 내용 한눈에 요약 AI는 이미 교실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고, 수업 준비와 학생 평가에 큰 도움을 줘요 학생 맞춤형 피드백과 자신감 향상에 특화된 AI 도구들이 많아요 AI를 주제로 학생들과 토론하거나, 실생활 속 AI를 찾는 활동이 효과적이에요 학생들이 AI를 직접 활용하거나 창의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해요 먼저, 가장 중요한 건 AI가 이미 우리 교실 곳곳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사실이에요. 단순히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쓰는 교육 플랫폼과 평가 도구, 심지어 수업 자료 준비까지 곳곳에서 AI가 활용되고 있거든요. 예를 들어, 선생님들이 자주 쓰는 Kahoot, Quizizz, Quizlet 같은 퀴즈 플랫폼이나, Formative 같은 평가 도구에도 AI가 숨어 있어요. 이 도구들은 학생별로 맞춤형 문제를 내주고, 실시간으로 학습 데이터를 분석해서 선생님이 바로바로 피드백을 줄 수 있게 도와줘요. 흥미로운 사실은, 학생 자신감과 언어 능력 향상에 특화된 AI 도구들이 많다는 점이에요. SchoolAI의 ‘Sidekick’ 기능이나 MagicSchool AI의 튜터 기능은 학생들이 직접 AI와 대화하면서 언어를 연습할 수 있게 해줘요. 마치 AI가 학생 옆에서 1:1로 코치해주는 셈이죠. 특히 Snorkl 같은 서비스는 학생의 발음과 유창성을 실시간으로 피드백해주고, 교사도 그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서 언어 수업에서 큰 효과를 봤어요. 수업 자료 준비도 훨씬 쉬워졌어요. Brisk Teaching, Diffit 같은 AI 도구를 활용하면, 읽기 자료의 난이도를 조절하거나, 학습 활동을 자동으로 만들어줘서 선생님이 반복적으로 자료를 만드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거든요. Almanack, Curipod 같은 툴은 발표 자료나 토론, 그림 그리기, 설문조사 등 다양한 인터랙티브 수업 자료를 빠르게 만들어줘요. 실제로 교실에서 바로 써보면, 학생 참여도가 확실히 높아지죠. 그렇다면, 학생들과 AI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해야 할까요? 핵심은 질문을 던지는 거예요. “AI가 뭔지 아는 사람?”, “우리 일상에서 AI를 어디서 볼 수 있을까?”, “AI가 추천해주는 음악이나 상품은 어떻게 고르는 걸까?” 이런 질문을 던지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AI에 관심을 갖고, 스스로 생각하게 돼요. 또, “AI가 알려준 답이 항상 맞을까?”, “AI를 과제에 써도 될까?” 같은 질문으로 윤리와 책임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만들 수 있어요. 실제로 저는 AI 스캐빈저 헌트(보물찾기) 활동을 해봤는데요, 학생들이 스마트폰이나 집에서 쓰는 AI, 앱, 게임 등을 찾아보고, 진짜 AI와 사람이 만든 결과를 구분해보는 활동이 꽤 흥미로웠어요. 이런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AI를 단순히 소비하는 게 아니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배우게 되죠.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AI를 직접 만들어보거나,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격려하는 게 중요해요.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은 공부 방법을 도와주는 챗봇 앱을 직접 기획하기도 했어요. 또, AI를 활용해 정신 건강, 영양 상담, 환경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놓기도 하죠. 이런 경험이 쌓이면, 학생들은 단순한 기술 소비자가 아니라, 미래를 이끌어갈 창의적 리더로 성장할 수 있어요. 실전 TIP: 교실에서 바로 써먹는 AI 활용법 3가지 AI 챗봇으로 언어 연습하기 SchoolAI, MagicSchool AI, Snorkl 등으로 학생별 맞춤 대화 연습 AI로 수업 자료와 평가 자동화
  • C
    Contenjoo
영국 정부, AI 교육에 2,500억원 투자... 미래 일자리 대비 나서
이 글을 읽으면 영국의 대규모 AI 교육 투자 계획과 우리나라 교육 정책에 미칠 영향을 알게 되어요 영국이 AI 시대를 대비해 학생들과 직장인들을 위한 교육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런 변화가 전 세계 교육 트렌드에 어떤 의미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요. 핵심 내용 요약 영국 정부가 AI 교육에 2,500억원 규모 투자 발표 2035년까지 1,000만 명의 일자리가 AI 영향 받을 전망 중고등학교 전체에 AI 교육 프로그램 도입 계획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들과 협력 2030년까지 750만 직장인 AI 재교육 목표 🚀 영국의 혁신적 AI 교육 투자 영국 정부가 'TechFirst'라는 이름으로 1억 8,700만 파운드, 우리 돈으로 약 2,500억원을 AI 교육에 투자한다고 발표했어요. 이건 단순한 교육 예산 증액이 아니라, 미래 경제 경쟁력을 위한 전략적 투자라고 볼 수 있죠. 가장 주목할 점은 100만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규모예요. 영국 전체 중고등학생 상당수가 체계적인 AI 교육을 받게 되는 셈이거든요. 📊 2035년 일자리 지각변동 예측 흥미로운 건 영국 정부가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는 점이에요. 2035년까지 약 1,000만 명의 일자리가 AI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거든요. 이는 영국 전체 노동인구의 상당 부분에 해당하는 숫자죠. 이런 예측을 바탕으로 선제적 교육 투자에 나선 건데, 마치 디지털 전환 시대에 미리 준비하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어요. 🎯 TechYouth 프로그램의 핵심 전략 TechYouth 이니셔티브에는 2,400만 파운드가 투입되는데,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명확해요: ✅ 전국 중고등학교 AI 교육 의무화 3년에 걸쳐 영국 내 모든 중고등학교에 AI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한다는 계획이에요. 선택 과목이 아니라 필수 교육과정으로 만들겠다는 의지가 보이죠. ✅ 빅테크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무료 교육 자료를 제공하기로 했어요. 이건 정부 예산 절약 효과뿐만 아니라, 실무진이 직접 개발한 최신 교육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거든요. 💼 직장인 재교육 프로그램
  • C
    Contenjoo